목록전체 글 (96)
taeyounkim LOG

정신없는 한 학기를 보내던 와중에 나름 결의를 다지고자 블로그를 쓴다. 이번 학기 로드 또한 지난 학기와 벌 다른 것 없이 진행이 되고 있다. 특히 기초아날로그실험은 한 주에 양질의 15페이지 보고서를 2개씩 요구한다. 이제 18개를 썼으니까 4개 남았다. 근데 그 중에 2개는 플젝 보고서라는 함정이 있다.. 컴퓨터구조나 전자회로도 무슨 다른 과목 따위 안중에도 없다는 양의 과제와 수업 난이도를 자유자재로 구사해주신다. 이 때문에 거의 고시생에 준하는 삶을 살았다. 정말 아무것도 못하고 공부만 한 것 같다. 그래서 중간고사 끝나고서부터 엄청 아팠는데 확실히 번아웃이었다. 번아웃 셀프 진단 후 일주일 동안 나름 잘 쉬었는데 지금은 또 나쁘지 않다. 근데 앞으로 이런 일은 많을 것 같다. 학교가 나름 순한 ..

두번째로 정리할 기업은 리벨리온이다. 앞선 포스트에서는 퓨리오사AI에 대해 정리를 하였는데,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taeyounkim.tistory.com/100 국내 반도체 스타트업 정리(1) - 퓨리오사AI 최근 국내에 반도체 스타트업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포스트 시리즈는 그 기업들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자 작성한다. 우리나라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 역량은 최근 들어 미국, 중국에 많이 밀 taeyounkim.tistory.com 리벨리온 (Rebellion) 리벨리온은 2020년 세워져 현재 창업 2년 만에 대한민국의 반도체 스타트업 중에서 가장 높은 기업 가치인 3500억원를 기록하면서 가장 많은 투자금인 1120억원을 유치하였다. 리벨리온은 삼성전자,..

최근 국내에 반도체 스타트업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포스트 시리즈는 그 기업들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자 작성한다. 우리나라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 역량은 최근 들어 미국, 중국에 많이 밀리고 있다는 뉴스를 많이 접하게 된다. 메모리 시장에서의 입지는 아직 굳건하지만, 반도체 시장의 파이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영역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뉴스를 들을 때마다 나는 마음이 정말 좋지 않다. 반도체 회로 설계 직무를 꿈꾸고 있는 학생으로서 우리나라가 반도체 강국의 지위를 유지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굴뚝같기 때문이다. 퓨리오사 AI (Furiosa AI) 퓨리오사 AI는 삼성전자, AMD에서 경력을 쌓은 백준호 대표가 2017년에 설립한 기업이다. 이 기업은 팹리스 기업..

1. 인공지능 관련 공모전 https://aihub.or.kr/node/13436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 AI 허브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에서참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수상한 최종 수상작의 아이디어 제안서와 결선 발표자료를 공개합니다. aihub.or.kr 2. 대학원에 대한 생각 굉장히 인상깊게 본 유튜브 영상이다. 이 사람이 했던 고민과 내 고민이 상당 부분 비슷하다. https://youtu.be/XEpz_qTzwTE

매년 수능의 영어 영역을 풀어보는 건 나한테 연례행사와도 같은 일이다. 그리고 올해도 한 번 풀어보았다. 그동안 너무나도 수고했을 수험생들이 너무 대단하다 생각하고 맘껏 놀았으면 좋겠다. 수능의 난이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는 일이라 생각한다. 실전에서는 어떠한 난이도의 시험이 나오던지간에 어려울 수 밖에 없다는 말이 있다. 현우진이 한 말이다. 수능을 한 번 밖에 본 적이 없는 나한테도 내가 본 2019학년도 수능이 그 전에 접했던 어떠한 시험들보다도 가장 어렵게 느껴졌으니 정말 맞는 말이다. 따라서 언론에서 보도되는 난이도는 영양가가 거의 없는 평가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34-38-21-32-39 순서로 오답률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내가 전문 영어 선생님은 아니여서 ..

FPGA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의 약자이다. 최근 들어 이 칩의 이름이 굉장히 많이 거론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만큼 핫한 기술이라는 것이다. 요즘 읽고 있는 책에서도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있어 흥미롭게 읽어보았다. 그리고 비록 내가 이 칩을 다루고 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공부한 내용에 대해 요약을 해보고자 한다. 이 포스트는 매우 기본적인 지식에 대한 포스트이며, 추가적인 공부를 통해 지식을 확장해나아가고 싶은 마음이다. 또한 나도 과거의 기술을 배우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유망할 기술들에 대해 알아가고 그 분야에 종사를 해야 승산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취지도 있다고 하고 싶다. FPGA는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설계 가능 논리 소자와 프로그래밍이 ..